생활정보

저축성보험의 환급률을 달라지게하는 상식 3가지

2019. 5. 22.
실시간 인기글8월 26일 (화) 08시 47분 58초



1. 공제금액 확인은 필수!

저축 성 보험 은 납입 보험료 전액이 적립이나 투자에 쓰인다고 보통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보험 모집 같은 곳에 활용되는 비용이나 사망보장을 위한 위험보험료, 각종 수수료등을 차감한 금액만 적립이나 투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가입 초기 (10년 이내) 환급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축 성 보험 가입 전에는 상품설명서의 '공제금액 공시'에 기재된 내용, 즉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 및 수수료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적립 보험료는 통상 월납입금의 85~95%이나 상품마다 다를 수 있음)


2. 해지공제 없는 상품을 이용하자!

저축성 보험이라도 결국은 보험상품 입니다. 은행 예,적금과 달리 초기 해지시 해지공제로 환급금이 매우 적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해지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온라인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습니다. 


일부 보험회사가 해지공제도 없고 비용, 수수료도 낮은 저축성 보험을 온라인 전용으로 판매중이기 때문입니다. 환급률이 높은 보험은 초기 해지에도 납입보험료의 95%~100%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저축 보험 가입을 고려하신다면 알아보는게 좋습니다. 저축 보험 해지 환급금 계산 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지 공제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추가납입으로 비용을 절감하자!

기본보험료의 2배 이내에서 보험료를 추가로 내는 보험료 추가납입 기능을 활용하면 저축성보험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추가납입보험료는 보험모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계약체결비용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 보험료 + 추가납입보험료' 의 형식으로 납입하면 같은 금액으로도 더 높은 환급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본보험료가 그렇듯이 추가납입보험료 역시 금융기관 자동이체를 통해 낼 수 있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매월 정기적으로 추가 납입보험료를 내려면 보험사에 자동이체 납입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