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형 망원경의 천문활용2

2018. 12. 30.

3) 태양계 천체들의 충돌

소형망원경으로 천체들을 관찰하다 보면 천체의 표면에서 예상치 못하게 짧게 끝나는 이벤트들을 목격할 수 있다. 그 예로 목성의 남극주변에 충돌 흔적을 발견한 것인데 2009년 호주 아마추어 천문가가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소행성의 충돌 관측을 위한 국제적은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결국엔 3개의 플래쉬가 관측되었다. 이것이 광도곡선으로 목성과 충돌했던 천체의 크기와 주기를 결정하게 되었다. 2009년 7월에 Anthony Wesley가 촬영한 목성에 보면 목성 대기에 검은 충돌 흔적이 발견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작은 유성체가 진화한 것을 2010년 6월에 목격하였으며 파랑색 파장에서 진화한 것을 2010년에 Christopher Go가 촬영하였다. 이를 조금 더 쉽게 하기 위해 행성촬영을 통한 운석충돌현상을 찾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개발하여 공유하고 있다. 

4) 외계행성의 통과와 미시중력렌즈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여러 업적을 쌓은 만큼 전문 천문학자들도 전천탐사에 의해서 얻어진 발견에 반응하여 천체들의 광도곡선을 완성시키는데 크나큰 기여를 하였다. 외계행성 통과관측은 언뜻 봐서는 어떤 말인지 잘 모르겠지만 예를 들어보면 조금 이해하기 쉽다. 간단히 말해서 거대행성이 모행성을 통과할 때 1%의 광량감소를 측정해야 하는 것이다. Mousis et al.은 2014년에 이에대한 3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Ephemeris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 알려진 통과관측을 반복적으로 관측해야 한다. 관측하면서 통과시간의 변화를 찾으면 추가적인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방법은 알려진 행성계에서 미확인 통과를 찾아내는 것이다. 2009년에 30cm 망원경으로 발견한 적이 있다. 

미시중력렌즈효과로 인해 이러한 것 들을 관측할 수 있는데 행성한테 미시중력렌즈효과가 나타나면 주변 별이 많이 밝아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추가로 행성의 통과가 일어나게 되면 외계행성 미시중력렌즈 현상이 몇일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아주 자주 모니터링을 해 줘야 한다. 혼자서는 어려우므로 작은 망원경들이 국제적인 네트워크 관측을 해야만 한다. OGLE 전천탐사와 MOA전천탐사에서 중력렌즈현상이 많이 관측되었다. 그래서 추적관측을 위해 Planet 네트워크가 만들어졌다. 관측을 위한 여러 프로젝트가 만들어졌는데 그 중 하나는 Recon 프로젝트로 아마추어 천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콰이퍼벨트 천체들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관측중에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의 KMTNet이 있으며 이는 남아공, 호주, 칠레에 설치되어 가동중에 있다.

5) 변광성 모니터링

AAVSO라는 모임이 있다. Th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의 약자로 전세계의 변광성 모니터링에 관심있는 아마추어들이 주로 지원한다. 이 그룹은 지난 5년동안 백만건이 넘는 관측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전적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측광 관측을 하고 싶어 하는 이들을 위해 훈련자료와 성표들을 공개하여 자원관측자들을 지원한다. 다양한 자료를 볼 수 있는 the General Catalog of Variable Stars 보다 더 방대한 변광성 목록을 제공하며 광도곡선과 주기결정을 위한 자료분석 패키지도 제공하니 측광 관측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더 없이 좋은 자료를 받을 수 있는 그룹이다. 현재는 NSF-Funded AAVSO Photometric All-Sky Survey와도 협업중이다. AAVSO에서 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인 Citizen Sky 프로젝트는 epsilon Aurigae 쌍성계의 식관층 모니터링 캠페인을 운영하였다. 2009년에서 2011년까지 운행한 이 캠페인은 쌍성계에서 차폐하고 있는 원반의 간섭계영상 분석을 위한 계획이었으며 관측을 하고 분석을 하고 논문을 쓰는데 대중이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6) The Whole Earth Blazar Telescope

Blazar란 초밀집 퀘이사를 지칭하며 거대 타원 은하의 중심에 있을것으로 예상하는 거대한 블랙홀을 말한다. 이 현상은 우주에서 가장 에너지를 많이 내며 외부은하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것은 활동하는 은하핵을 지니고 있는 큰 은하군의 구성원이다. 1978년에 명명되었으며 OVV 퀘이사와 BL Lac천체의 성질들이 합쳐져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Blazar를 꾸준히 관측하는 목적으로 조직된 집단이며 광학천문대와 전파천문대에서 40명이 넘는 아마추어 관측자와 전문 천문학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 GASP 장주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일부로 Fermi와 AGILE 우주망원경의 지원을 받아 추진중이다. 1998년 이후 50여편이 넘는 연구논문이 유명 저널에 발표되고 있는 유망한 집단이다.

7) Extragalactic Transients

초신성이란 이름의 천체 종류는 1980년대부터 아마추어들에 의해 초신성 찾기 연구에 큰 기여를 했다. 그 예로 Evans라는 아마초어는 42개의 초신성을 발견했을 정도로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2010년부터는 150~180SNs/year 비율로 발견되고 있는 중이고 이는 전체 초신성의 10% 정도로 추산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숫자에 연연하지 않지만 아마추어들은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렇게 발견된 초신성 들은 이메일과 웹사이트들을 통해 IAU에 직접 보고하고 있다. 또한 발견된 초신성에 대한 논문도 작성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22편의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GRB와 관련된 광학 Transient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처음 발견하였으며 감마레이 네트워크에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8) Deep sky 관측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Deep sky관측에 기여할 수 있는 세가지 이점이 있다. 먼저 시간 가능성인데 blazar의 미세변광이나 유성의 빈도를 결정하려면 분단위로 짧은 시간의 관측이 필요하다. 하지만 거대행성의 점차적인 진화나 주기적으로 변하는 항성변광은 수십년단위로 일어난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얼마든지 오랫동안 관측이 가능하다. 두번째로 유연성인데, 새로운 현상이 발견되면 아마추어들은 과학적인 의미에 상관없이 발견된 현상을 포착하려 한다. 이런 현상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데,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발견된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맥적인 역할이다. 전문가들은 영상이 아닌 분광기를 사용한다거나 아주 다른 파장에서 좁은 파장으로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은 어떤 경우에나 거의 동시에 관측된 광대역 광학영상이 관심이 있는 현상에 유용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해 주기도 한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